육지 속의 섬, 회룡포
육지 속의 섬, 회룡포
  • 이철락 기자
  • 승인 2021.01.25 10:0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북 예천, 한겨울도 어머님 품속 같은 곳
청학동 훈장의 막내딸 김다현의 노래로 더 유명

지난 14일 TV조선의 인기 프로인 ‘내일은 미스트롯2’에서 청학동 소녀 김다현이 ‘회룡포’라는 노래를 불러 인기를 끌었다. 초등학생 소녀는 본선 2차에서 이 노래로 내로라하는 성인 가수들을 물리치고 ‘미스트롯 1:1 데스매치 진(眞)’에 등극했다. 그녀는 특유의 감성이 담긴 목소리로 청학동 김봉곤 훈장의 1남 3녀 중 막내딸로서가 아니라 ‘김다현’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해지고 있다. 김다현이 1:1 데스매치에서 이 노래를 부르기 직전에 회룡포의 현장감을 직접 마음속에 품기 위해 이곳을 미리 다녀갔었고, 이로 인하여 회룡포(回龍浦)에는 요즘 방문객이 크게 늘고 있다.

경북 예천군 회룡포는 어머니 품속 같기도 하고 육지 속의 섬 같기도 하다. ‘회룡포 전망대’에서 내려다보면 내성천의 강물이 이곳을 시계방향으로 휘감아 돌아 낙동강에 유입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철락 기자
지난 24일 경북 예천군 회룡포는 한겨울임에도 어머니 품속 같기도 하고 육지 속의 섬 같기도 하다. ‘회룡포 전망대’에서 내려다보면 내성천의 강물이 이곳을 시계방향으로 휘감아 돌아 낙동강에 유입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철락 기자

 

경북 예천군 회룡포(回龍浦)는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이 주변의 가파른 산에 막혀 350° 휘감아 돌아 만들어진 곳이다. 곡류의 가파른 절벽 위에 설치한 ‘회룡포 전망대’에서 내려다보면 회룡포는 마치 육지 속의 섬 같고, 맑고 깨끗한 백사장에 설치한 뿅뿅다리 위를 걷는 사람들이 멀리서 개미처럼 작게 보인다. 내성천 위로 얕게 깔아놓은 뿅뿅다리는 구멍 뚫린 철판 위로 물이 퐁퐁 솟아오른다고 하여 퐁퐁다리라고 불렸지만, 훗날 방송에서 뿅뿅다리라고 잘못 발음된 것이 세상에 더 알려지면서 뿅뿅다리라고 부른다. 뿅뿅다리를 건너 회룡포에 들어가면 민박도 할 수 있다이곳은 2005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16호로 지정되었다.

신라 시대 고찰인 비룡산 장안사(長安寺) 대웅전 입구. 사람들이 회룡포 전망대에 가기 직전에 들르는 곳이다. 이철락 기자
신라 고찰인 비룡산 장안사(長安寺) 대웅전 입구. 사람들이 회룡포 전망대에 가기 직전에 들르는 곳이다. 이철락 기자

 

비룡산(190m) 주차장에서 나무계단을 따라 600m 정도 오르면 산 중턱에 신라의 천년 고찰인 장안사(長安寺)를 거쳐 ‘회룡포 전망대’에 이른다. 장안사 등산로를 따라가면서 낙동강, 내성천, 금천이 합쳐지는 삼강(三江)을 볼 수도 있다. 전망대에 이르는 길에는 여러 종류의 친절한 안내판이 있다. 계단이 223개라는 것과 회룡포 건너편의 산봉우리가 하트를 닮았다고 하여 ‘사랑의 산’을 설명하는 안내판도 있다. 정겨운 안내판들로부터 예천군민들의 정성과 노력을 곳곳에서 읽을 수 있다. 어떤 안내판은 “삼국사기에 의하면 이곳은 삼한 시대의 격전지로 유명하다. 370년에 원산성이 백제(근초고왕) 영토가 되었다가 512년(문자왕) 고구려 영토가 되었다. 그 후 565년(진흥왕)에 신라의 땅이 되어 오늘에 이른다.”라고 지역사를 설명하기도 한다.

회룡포 전망대로 가는 길목에는 다양한 안내판이 있다. 건너편 ‘사랑의 산’들이 태곳적부터 사랑의 상징인 하트를 닮았다는 내용과 함께, 안내판에는 “전설에 의하면 젊은 연인들이 비룡산의 정기를 받아 인연을 맺으면 검은 파 뿌리가 될 때까지 백년해로한다.”라고 적혀 있다. 이철락 기자
회룡포 전망대로 가는 길목에는 다양한 안내판이 있다. 건너편 ‘사랑의 산’이 태곳적부터 사랑의 상징인 하트를 닮았다는 내용과 함께, 안내판에는 “전설에 의하면 젊은 연인들이 비룡산의 정기를 받아 인연을 맺으면 검은 파 뿌리가 될 때까지 백년해로한다.”라고 적혀 있다. 이철락 기자

 

전망대에서도 회룡포의 경관을 잘 볼 수 있지만, 장안사에서 약 10분 정도 더 오른 ‘봉수대’에 가면 더 멀리서 내성천의 경이적인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다. 회룡포에는 야영과 민박도 가능하며, 인근에는 삼강주막, 용궁향교 등의 관광지가 있다. 전망대(장안사)에서 삼강주막까지는 약 15km 정도여서 자동차로는 가까운 편이다. 삼강 지역의 유래는 낙동강, 내성천, 금천의 세 강이 만난다는 곳에서 비롯되었다. 경북 예천군은 이곳을 중심으로 삼강문화단지를 조성하고 삼강주막, 삼강나루터, 포구, 황포돛배 등의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하루 30여 차례의 나룻배가 드나들던 포구(浦口)로 1960년대까지 성황을 이루었지만, 1980년 무렵 나룻배 운영을 중단하였다. 이철락 기자
하루 30여 차례의 나룻배가 드나들던 포구(浦口)로 1960년대까지 성황을 이루었지만, 1980년 무렵 나룻배 운영을 중단하였다. 이철락 기자

 

지난 24일 삼강마을 출입구에 옛날 보부상들이 사용했을 법한 엽전 조형물을 지나자 삼강주막 마을이 나타나고 말끔하게 정리된 넓은 마당에는 여러 개의 평상이 놓여 있었다. 초가나 마당의 평상에 걸터앉은 관광객들은 전을 비롯한 몇 가지 안주에 막걸리를 시켜놓고 삼삼오오 모여 앉아 당시의 보부상이나 뱃사공이 나눈 옛이야기를 되돌리는 기분을 느끼는 듯하다. 내성천 강둑 밑으로 아담하게 조성한 초가 마을이 지금은 한겨울 따스한 햇살 아래 조용하지만, 예전에는 보부상과 뱃사람들로 시끌벅적한 모습이었을 것이다.

삼강주막은 나들이객에게 음식을 제공하던 곳으로 정지와 부뚜막이 아직 보존되어 있다. 이철락 기자
삼강주막은 나들이객에게 음식을 제공하던 곳으로 부엌의 부뚜막이 아직 보존되어 있다. 이철락 기자

 

1900년경에 지은 삼강주막은 삼강나루의 나들이객에게 허기를 면하게 해주고 보부상들의 숙식처로 이용하였던 초가이다. 사립문을 열고 뒤쪽으로 돌아 들어가면 다락방과 두 칸의 방 및 부엌을 개방해 놓았다. 부엌의 좁은 부뚜막을 보면서 과거의 생활상을 짐작해 보기도 한다. 주막 밖 뒤편에는 ‘들돌’을 야외 전시하였다. 들돌은 당시 청년 일꾼들의 품값을 책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물류 이동이 활발함으로써 청년의 힘이 절실하게 필요했던 시절에 필요했을 것으로 짐작한다.

들 수 있는 정도에 따라 청년의 품값을 책정하였다고 하는 들돌. 이철락 기자
힘이 많이 필요하던 시절, 들 수 있는 정도에 따라 청년의 품값을 책정하였다고 하는 들돌. 이철락 기자

 

근처에는 1900년대에 지은 보부상 숙소와 사공 숙소도 있다. 당시 삼강은 한양으로 통하는 길목으로 물류 이동이 활발하였다. 보부상 숙소의 안내판에는 “언제나 보부상과 길손들이 이어졌고, 장날이면 나룻배가 30여 차례나 오갈 만큼 분주했다. 밤이 되면 낯모르는 사람들이 호롱불에 둘러앉아 야담을 나누면서 잠을 청하던 곳이 보부상 숙소이다. 당시 건물은 1934년 대홍수로 모두 멸실되었으나, 마을 어른들의 증언과 고증을 바탕으로 2008년 복원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인접 보부상문화체험촌에는 대장간, 보부상 숙소, 막걸리 홍보관 등도 있다.

보부상문화체험촌에는 대장간, 보부상숙소, 막걸리 홍보관 등이 있다. 이철락 기자
보부상문화체험촌에는 대장간, 보부상 숙소, 막걸리 홍보관 등이 있다. 이철락 기자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