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느끼다] 정지용의 '향수'
[시를 느끼다] 정지용의 '향수'
  • 권정숙 기자
  • 승인 2022.10.31 08: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지용 시인
정지용 시인

 

향수 // 정지용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나가고,

얼룩빼기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이 그립어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러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의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성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아 도란도란거리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명시100선 [2004년 민예원]

충북 옥천에 있는 정지용 문학관
충북 옥천에 있는 정지용 문학관

 

정지용 시인은 1902년 충북 옥천에서 태어나 1950년 향년48세로 타계했다. 일본 도시샤 대학을 나왔고 이화여자대학 교수, 경향신문사 주간을 지냈다. 섬세한 이미지 구사와 언어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보여준 것이 특징이라 한다.

모든 공직에서 물러나 은평리 초당에서 은거하다가 6.25 때 납북된 뒤 행적이 묘연했다. 그 후 북한의 보도에 의하면 1950년 9월경 경기도 동두천 부근에서 폭격에 의해서 사망했다는 설이 있을 뿐이다. 대표작으로는 향수, 호수, 인동차 등이 있다. 그의 문학적 영향력은 대단했다. 청록파 시인과 윤동주, 이상을 추천하여 등단시켰다.

향수라는 詩는 1927년 3월 조선지광 65호에 발표되었고 시인의 제1시집인 정지용 시집에 수록되어 있다. 향수는 시인의 대표 詩이기도 하고 테너 박인수의 노래로도 잘 알려져 사람들은 정지용 시인은 몰라도 향수라는 詩는 알고 있다고 한다.

향수는 추억이나 사물에 대한 지극한 그리움이라고 한다. 시인의 지극한 그리움은 고향집과 들판, 그리고 가족이었던 것 같다. 누군들 어릴 때 살았던 고향과 그 가족이 그립지 않을까. 다만 그 마음을 표현하가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말이나 글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정지용 시인의 특기인 섬세한 언어 구사력이 돋보이는 대표적인 詩다.

처음부터 환경묘사가 그림보다 더 리얼하게 펼쳐진다.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여기서 넓은 벌이라는 단어 하나에도 우리는 시골의 넓고 싱그러운 초록의 들판을 떠 올리게 된다. 실개천이 동쪽에서 곧바로 흐르지 않고 휘어져 흐르며 지줄댄다는 표현에서 마르지 않고 쉼 없이 소리를 내며 흐르고 있다는 청각적 연상까지 가능하게 해 준다.

그 다음 연 사이마다 후렴처럼 반복되는 짧은 연이 절창이다.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그저 평범한 싯귀 같은 한 연에 마음을 다 담은 것 같다.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소리 말을 달리고’ 질화로에 재가 식어가는 시간이면 밤이 깊었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삼라만상이 잠들 듯 고요해지면 밤바람 소리는 말 달리는 소리처럼 더 크게 울리듯 들렸으리라. 늙으신 아버지는 숙면에 들지 못해 짚 베개를 돌려가며 높이 베고 계셨던 곳, 흙에서 자란마음이 파란 하늘빛을 그리워하고 풀섶 이슬에 바지가랑이를 휘적시던 곳 그 곳을 어찌 잊을 수가 있겠는가.

일곱째 연에 누이의 묘사가 환상적이다. ‘전설의 바다에서 춤추는 밤물결 같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이런 구절이 시를 시답게 하는 게 아닐까. 그에 비해 아내의 묘사는 너무나 소박하다. 요즘 아내들 같으면 어쩜 서운하리만치 소박하다. 그래도 그 소박함 속에 아내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와 몇 겁의 인연 속에 맺어진 정을 느끼게 해주니 역시 언어의 연금술사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초라한 지붕 밑에 흐릿한 호롱불 앞이지만 도란도란 가족이 정겹게 마주 앉아 하루를 마감하며 내일을 꿈꾸는 일이야말로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행복한 일이 아닐까.

그는 절대적인 사랑과 행복을 길게 누리지도 못한 채 짧은 생애를 마감하였으니 안타까울 뿐이다. 천재는 요절 한다는데 그도 천재였기에 그렇게 됐나 생각하면 보통사람으로 태어난 것에 감사해야겠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