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갱시기
추억의 갱시기
  • 정신교 기자
  • 승인 2024.02.23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베이비부머의 소울푸드

올해는 2월 25일이 대보름날이다. 지난해에 음력으로 윤달이 있어서 설날이 비교적 늦었다.

설 명절이 지나고 대보름까지는 농촌에서 일손이 비교적 한가한 시기다. 지역마다 고유한 전통놀이도 하고 친지를 찾아뵙고 음식을 같이 나누어 먹기도 한다.

명절과 제사를 지내고 남은 음식으로 죽을 끓여 먹는데, 이를 경북 지방에서는 ‘국 갱(羹)’자에 ‘밥 식(食)’자를 붙여서 갱식, 갱시기 혹은 갱죽이라고 하며 경남 지방에서는 국시기라고 한다.

60년대 초반에 라면이 출시되고 나서는 라면에 밥을 넣어 끓여 낸 갱시기가 등장했다. 물을 끓여서 라면과 스프를 넣고 식은밥과 나물 혹은 김치 등을 넣는다. 더운밥은 쌀알이 해져서 찬밥보다 식감이 나쁘다.

모 대통령은 평소에도 갱시기를 즐겨 먹었으며 참모들과 회식 후에 해장국으로 갱시기를 나누어 먹었다. 자식들에게 “제수를 차리지 말고 갱시기 한 그릇만 올려놓으라”는 유언을 남긴 사람도 있다고 한다.

정초에 청소년들은 동네 사랑방에 모여서 선후배 간에 진학과 취업 상담을 하고 놀이도 하면서 제각기 갖고 온 음식들을 라면에 넣어서 끓인 갱시기를 한 그릇씩 나누어 먹는다. 각자 준비해 온 음식을 먹는 미국의 포트럭(potluck) 파티와 비교해서 갱시기는 공동의 조리 과정이 더해진 진일보한 식문화라고 할 수 있다.

미군의 주둔 지역에서 유래된 부대찌개는 먹다 남긴 음식을 모아서 조리하지만, 갱시기는 나름대로 청결하고 위생적인 반찬을 재료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내가 외출하고 나면 가끔 갱시기를 끓인다. 끓는 물에 스프와 김치국물로 간을 맞추고 라면과 찬밥을 넣고 끓여 냉장고의 잔반을 보기 좋게 얹으면 훌륭한 혼식 메뉴가 된다. 잘 익혀져서 씹고 삼키기도 좋은 갱시기는 자기 자신의 수고와 추억도 함께 녹아있어 맛과 향이 더욱 진하다.

잔반을 처리해서 음식물 쓰레기도 절감하고 삼식이로서 아내에게 미안함도 덜게 되니 일석삼조(一石三鳥)다.

갱시기는 베이비부머의 소울푸드(soul food)다.